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나요?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초등학교 4학년, 그땐 미처 몰랐다. 30년 넘도록 롯데 자이언츠가 우승을 못 할 줄은. 1992년 가을 롯데가 두 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릴 때, 온가족이 함께 TV로 지켜봤다. 그러고 31년이 지난 2023년, 롯데는 7위에 그쳤다. 개인적으로 지난 시즌이 특별했던 건 첫째 아이가 초등학교 4학년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92년도 우승을 지켜본 11살 소년이 성인이 되어 결혼을 하고, 태어난 아기가 아빠와 똑같은 학년이 될 때까지… 롯데는 우승을 하지 못했다. 한 세대가 지나는 동안 우승은커녕 한국시리즈 진출도 단 한 번, 그것도 20세기(1999년) 때 일이다.

 

야구만의 문제가 아니다. 대우 로얄즈 시절 ‘구도(球都) 부산’은 야구를 넘어 축구 도시라 할 만했다. 1997년 K리그와 리그컵 우승 등 3관왕을 달성했던 축구 명가는 2000년대 들어 부산 아이파크로 옷을 갈아입은 뒤 옛 명성을 잃었다. 지금은 1부와 2부리그를 오르내리는 만년 하위 팀으로 전락했다.

 

롯데 야구와 아이파크 축구를 보고 있으면 연고지 부산을 닮아간다는 느낌이다. 해안 절경과 삐까뻔쩍한 마천루 등 겉은 그럴싸해 보이지만, 속은 ‘노인과 바다’가 떠오르는 쇠락의 도시. 연고지 현실이 이런데, 프로구단의 성적만 좋기를 바라는 건 몰염치요 사치다.

 

그런데 올해는 다르다. 정상보다 하위권, 승리보다 패배가 익숙한 부산 프로스포츠계에 변화의 바람이 분다. 부산 KT가 떠난 자리에 지난해 전주 KCC가 ‘전학’을 오더니 급기야 우승을 넘보고 있다. 최근 플레이오프에서 ‘부산 KCC’는 압도적인 경기력으로 정규리그 4위팀 서울 SK에 이어 1위팀 원주 DB마저 꺾고 챔피언결정전에 올랐다. KCC가 4승만 더 거두면 연고지 이전 첫 해 우승, 정규리그 5위팀 우승 등 프로농구(KBL) 사상 최초 기록을 쓰게 된다.

 

부산 입장에서도 대기록이다. 부산에 연고를 둔 프로구단이 가장 최근 우승한 적은 야구(롯데 자이언츠)가 1992년, 축구(대우 로얄즈)와 농구(부산 기아)는 1997년이 마지막이다. KCC가 올 시즌 우승컵을 들어 올리면, 부산 연고 프로구단이 27년 만에 왕좌에 오르는 큰 경사다. 야구는 32년, 축구는 27년 동안 못 이룬 꿈을 부산에 둥지를 튼 지 1년도 안 된 ‘전학생’이 해내는 것이다.

 

부상 같은 변수만 없다면 객관적인 전력상 ‘슈퍼팀’ KCC가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할 확률은 매우 높다. 같은 부산 연고의 ‘토박이 팀’ 롯데와 아이파크로서는 마냥 축하할 수 없는 머쓱할 일이다. KCC 전창진 감독은 챔프전 진출을 확정한 뒤 “부산이란 도시는 성과만 내면 시민들께서 보답을 해주신다. 책임감을 갖고 더 열심히 하겠다”며 우승의 이유로 ‘팬’을 꼽았다. 구도 부산을 놓고 야구·축구 대신 농구를 먼저 이야기할 날이 머지않았다. 구도의 역사를 다시 깨운 농구 앞에서, 야구와 축구는 분발해야 하지 않겠나. 전학생에게 승리 방정식, 우승 DNA를 배워 이대·삼대의 팬들에게 보답해야 하지 않겠나. 32년 전 그 아이가 묻는다.

 

부산일보 이대진 기자

 

JPG 이미지 버튼들

0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조회 수 추천 수 날짜
공지 공지 🔥커뮤니티 챔피언 포인트·메달 시스템 전격 오픈⚽️ 33 0 2025.05.15
36886 축구잡담 북패 왜 최철원이 주전인줄 알겠네 49 0 2024.04.22
36885 축구잡담 중국 선제골 넣었네 44 0 2024.04.22
36884 축구잡담 근데 핵융합 토카막 5분이 중요한 이유가 46 0 2024.04.22
36883 축구잡담 이재원 좀 더 여유있어도 되는데 성급하게 걷어내네 자꾸 50 0 2024.04.22
» 축구잡담 [노트북 단상] ‘전학생’이 깨운 구도(球都) 부산 51 0 2024.04.22
36881 축구잡담 조만간 리그 센터백들 걸러질때 그냥 급하게 무지성으로 걷어내는 유형들이 밀릴거같은데 45 0 2024.04.22
36880 축구잡담 경기가 너무 재미없어 44 0 2024.04.22
36879 축구잡담 우리강희 칭찬하고싶은데 그럴만한 장면이 딱히 안나오네 44 0 2024.04.22
36878 축구잡담 윤상쿤... 컨디션 좋다며... 50 0 2024.04.22
36877 축구잡담 J리그나 현 일본 연령별 대표팀에도 축구선수 2세 있음 ?? 50 0 2024.04.22
36876 축구잡담 나만 졸린 줄 알았더니 47 0 2024.04.22
36875 축구잡담 이영준 들어가는 순간 쇼부다 47 0 2024.04.22
36874 축구잡담 방금 일본선수가 몸으로 1번 버텨줘서 연계했던거 48 0 2024.04.22
36873 축구잡담 황새 딸깍 실패 39 0 2024.04.22
36872 축구잡담 나은이아부지 해설 들어보니까 지도자는 안 하시는 게 모두에게 좋을 듯.. 49 0 2024.04.22
36871 축구잡담 일본도 2군이야?? 40 0 2024.04.22
36870 축구잡담 괜한걱정했네 51 0 2024.04.22
36869 축구잡담 일본 22번 수비 좀 치네 48 0 2024.04.22
36868 축구잡담 이강희 방금 버티고 전진패스 좋앗다 46 0 2024.04.22
36867 축구잡담 홍시후가 아무리 기본기랑 판단이 불안하다하더라도 저렇게 운동능력이랑 힘이 좋으니 46 0 2024.04.22
36866 축구잡담 젊은 측면 공격수? 감자로 와라 51 0 2024.04.22
36865 축구잡담 5백으로 내려앉는건 그렇다치는데 47 0 2024.04.22
36864 축구잡담 9월 대만, 11월 마카오, 그 다음은 어디 34 0 2024.04.22
36863 축구잡담 오늘 비기면 승부차기라네 46 0 2024.04.22
36862 축구잡담 서울 전북 매치볼 경매 사이트 구경하는데 재밌네 file 66 0 2024.04.22
36861 축구잡담 확실히 배준호 있었으면 훨씬 나았을듯. 44 0 2024.04.22
36860 축구잡담 노경호 뭐시기 글 있었늨데 어디갔냐 47 0 2024.04.22
36859 축구잡담 근데 후반엔 힘주는게 좋아보이는데 35 0 2024.04.22
36858 축구잡담 일본 이노무새키 우리 강희 고마 주차뿌네 51 0 2024.04.22
36857 축구잡담 일본은 유니폼 ㄹㅇ 잘나오네 43 0 2024.04.22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31 Next
/ 1231